본문 바로가기

homework-jueon/0x01-200제27

19. 대입 연산자(=) 대입 연산자(=)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선 보통 수학에서 사용되는 양쪽 두 변이 같다는 것이 아닌 왼쪽의 변수에 오른쪽의 값을 대입한다는 의미이다. 사진은 대입 연산자(=)와 print(,end='')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든 후 실행한 결과이다. 2020. 1. 1.
18. 복소수형 자료 복소수형 상수는 실수부+ 허수부로 되어 있는 수이다. 만약, 복소수형 상수 x1에 1+4j를 대입하고 그중 실수부나 허수부만을 취하려면 실수부 = (변수명.real) 허수부 = (변수명.imag)로 나타내면 된다. complex()라는 것으로도 복소수형 상수를 구성할 수 있다. complex(4,3)은 실수부가 4, 허수부가 3인 복소수를 만든다. complex(4,3) = 4+3j 2020. 1. 1.
17. 실수형 자료 변수에 소수로 표현한 값을 대입하면 그 변수는 실수형 자료로 취급된다. x1 = 1.0 이면 x1은 정수 1을 나타내지만 소수로 표현되었으므로 정수형 자료가 아닌 실수형 자료이다. 실수형 상수를 표현하는 다른 방법은 e를 사용하는 것이다. e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. e2 = 10^2, e3 = 10^-3 등이다. 실수형 자료와 정수형 자료를 연산하면 결과는 모두 실수형 자료가 된다. 4 / 2 = 2.0 2020. 1. 1.
16. 정수형 자료 이해 정수형 자료는 여러가지가 있다. 컴퓨터에선 2진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8진법이나 16진법도 편리하게 사용된다. 사진은 처음 수(100)는 정수이고 그 아래로 2진법 8진법 16진법이다. 마지막 수는 정수를 길게 쓴 것이다. 8비트 = 8자리 2진수로 표현 가능 1바이트 = 두 자리 16진수로 표현 가능 따라서 컴퓨터의 대부분의 데이터는 16진수로 표현이 가능하다. 2019. 12. 31.